본문 바로가기
역사

정조 (1)

by fdadfasdf 2024. 3. 5.
728x90
반응형

아동 정책

정조는 아이들에 대한 정책들을 제시하였습니다. 정조는 아이들에게 존댓말을 쓰며 심지어 엎드려 절까지 했다고 한다.

 

정유역변

1777(정조 1) 7, 괴한이 경희궁에 침입하자 정조는 창덕궁으로 거처를 옮겼습니다. 그러나 8월에 다시 괴한이 침입하다 잡혔는데 조사 결과 정조의 외척인 홍상범, 홍계능 등이 유배되어 있던 홍술해와 모의하여 반정을 꾀한 것이 드러났습니다. 홍국영이 이 사건을 책임지고 처리하였습니다. 홍국영은 이들이 추대한 은전군을 자진하도록 조치하고 홍술해, 홍상범에게는 사형을 내렸으며, 홍계능은 고문을 받다가 죽었습니다. 정후겸의 양모인 화완옹주는 교동으로 유배되었습니다. 이렇게 하여 정조 즉위 1년 안에 즉위에 반대하였던 세력은 정순왕후의 오라비인 김귀주만이 무사하였을 뿐 모두 제거되었습니다.

 

홍국영의 득세와 몰락

정조는 홍국영을 특별히 발탁하여 동부승지로 삼았다가 다시 도승지로 올렸고 임금의 호위를 위한 숙위소를 설치하여 홍국영을 숙위대장에 임명하였습니다. 전례가 없던 이러한 조치로 홍국영은 막강한 실권을 쥐게 되었습니다. 홍국영은 정조의 신임을 업고 모든 정사에 관여하여 삼사[주해 4]의 소계[주해 5], 팔도의 장첩 [주해[주해 6], 묘염[주해 7], 전랑[주해 8] 직의 인사권 등을 모두 총괄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백관들은 물론 88도 감사나 수령들까지도 그에게 머리를 숙이게 되었습니다. 홍국영의 이러한 득세는 실권을 쥔 세도 정치의 시작으로 평가됩니다.

정조는 세자 시절부터 늘 신변의 위협을 느끼고 있었습니다. 정조는 즉위 초기 반대 세력에 둘러싸여 있었기 때문에 홍국영에게 의지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1776(정조 즉위년) 623일 정후겸과 홍인한의 수하였던 윤약연, 홍지해 등을 친국하면서 소론이 홍국영을 제거하려고 한 시도에 대해 세자시절 옷을 벗지 못하고 자는 수가 또한 몇 달인지를 알 수 없었으니, 저궁의 고립과 위태함이 어떠했고 국가 사세의 간난(艱難)함이 어떠했겠는가?”라며 오직 홍국영이 자신을 보호하였다고 언급하였습니다. “홍국영에 있어서는 궁료(宮僚)로 있을 때부터 임금의 몸을 보호해 와 한쪽 손으로 하늘을 떠받치는 공로가 있었으니, 무릇 이 사람을 장해(狀害)하려고 흉계를 하는 사람은 곧 우익을 제거해 버리려는 흉심이 있는 것이다. 오직 이 하나의 신하를 의지하여 믿고 있는데 기필코 장살 하고야 말려고 하니, 마음 속에 생각하고 있는 바가 장차 어느 지경까지 가려는 것인가?”라고 하여 홍국영에 대한 신임을 보였습니다.

그러나 홍국영은 사사로운 관계에 따라 인사를 전횡하는가 하면, 영조의 계비이자 정조에게는 할머니가 되는 정순왕후가 독단적인 한글 전교를 통해 후궁을 간택한다고 하였는데 이에 자신의 누이를 원빈으로 들이는 등 무리한 권력 강화를 시도하였습니다.

홍국영 몰락의 직접적 원인은 확실하지 않습니다. 원빈이 왕비에 의해 독살되었다고 믿어 이를 보복하려고 왕비의 음식에 독약을 넣다가 발각되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집니다. 그러나 홍국영 몰락의 근본적인 원인은 자신이 지나치게 권력을 탐한 것과 외척이 정치에 관여하는 것을 억제하는 정조의 정책에 반해 스스로가 외척이 된 것을 들 수 있을 것입니다. 현경왕후는 한중록에서 원빈이 죽자 홍국영이 효의왕후를 의심하여 내전의 나인을 함부로 국문하였다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은언군의 아들 상계군 담()을 앞세워 왕위계승권에 관여하려 한 것도 정조가 홍국영을 축출한 원인이 될 것이라고 보입니다. 1779(정조 3) 홍국영은 도승지를 사임하였고, 정조는 홍국영에게 백마와 금전을 선물로 주며 낙향시켰습니다. 홍국영은 낙향한 이후 탄핵 상소가 이어져 강원도 횡성과 강릉 등지로 방출되었다가 1781(정조 5) 사망하였습니다. 정조는 홍국영의 사망 소식을 듣고 이 사람이 이런 죄에 빠진 것은 참으로 사려(思慮)가 올바른 데 이르지 못한 탓이다. 그가 공을 세운 것이 어떠하였으며, 내가 의지한 것이 어떠하였었는가? 처음에 나라와 휴척(休戚)을 함께한다는 것으로 지위가 중하지 않으면 위엄이 서지 않았기에 권병(權柄)을 임시로 맡겼던 것인데, 그가 권병이 너무 중하고 지위가 너무 높다는 것으로 조심하고 두려워하며 스스로 삼가는 방도를 생각하지 않고서 오로지 총애만을 믿고 위복(威福)을 멋대로 사용하여 끝내는 극죄(極罪)를 저지르게 된 것이다. 돌이켜 생각하건대, 이는 나의 허물이었으므로 이제 와서는 스스로 반성하기에 겨를이 없으니, 무슨 말을 할 수 있겠는가?”라며 스스로를 탓하였다고 합니다.

728x90
반응형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조 (3)  (0) 2024.03.05
정조 (2)  (0) 2024.03.05
영조 (3)  (0) 2024.03.05
영조 (2)  (0) 2024.03.05
영조 (1)  (0) 2024.0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