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

태종 (1)

by fdadfasdf 2024. 3. 5.
728x90
반응형

역성혁명 활동

 

정몽주와 온건개혁파 제거

 

역성혁명과 개혁방법의 차이로 인해 이방원에게 암살되었습니다. 1392(공양왕 4) 3, 아버지 이성계가 황주에서 사냥을 하다가 말에서 굴러 떨어져 부상을 당했습니다. 이성계는 병을 핑계로 은신했는데, 어머니 신의왕후 한 씨의 상으로 경기도 영평에서 시묘살이 중이던 이방원은 계모 신덕왕후 강 씨의 급한 부름으로 개경의 집으로 되돌아왔습니다.

정몽주는 이성계의 낙마 사건을 계기로 이성계 세력을 축출하였습니다. 그리고 그간의 개혁 법령을 폐지하려는 계획을 세웁니다. 정몽주는 이성계의 병문안을 빌미로 이성계의 가택을 방문하는 등 치밀함을 보입니다. 이방원은 아버지 이성계에게 정몽주를 제거할 것을 권고하였으나 이성계는 신의를 지키겠다는 마음으로 반대하였습니다.

이성계는 이방원에게 이왕이면 정몽주를 설득하여 자기 세력으로 끌일 것을 당부했습니다. 이에 이방원은 정몽주를 자택으로 부르자 정몽주는 정세를 엿보러 이성계의 병문안을 핑계로 방문하였습니다. 이후 이방원은 마지막으로 정몽주의 마음을 돌리기 위해 자택으로 불러들여 마주앉아 시조 한 수를 읊었습니다. 이때 정몽주와 이방원이 주고 받은 시조가 바로 단심가(丹心歌)하여가(何如歌)입니다.

 

이런들 어떠하리 저런들 어떠하리

만수산 드렁칡이 얽혀진들 어떠하리

우리도 이같이 얽혀 백 년까지 누리리라

 

하여가라는 제목의 이 시조는 망하기 일보 직전인 고려 왕실을 붙들려하지 말고, 서로 사이좋게 지내 새로운 왕조를 창업하는 일에 동참하는 것이 어떠하겠느냐는 내용이었습니다.

정몽주는 이에 단심가로 그의 요청을 거부하였습니다.

 

이 몸이 죽고 죽어 일백 번 고쳐 죽어

백골이 진토되어 넋이라도 있고 없고

임 향한 일편단심이야 가실 줄이 있으랴

 

결국 정몽주는 결코 회유할 수 없는 인물이라고 결론을 내린 이방원은 무사를 보내 제거할 것을 지시하였습니다. 결국 선죽교에서 정몽주를 타살하였습니다. 정몽주가 죽은 후에 이 자리에서 대나무가 솟았다고 하여 선죽교라 부르게 되었습니다. 이어 그는 이색과 그의 두 아들 및 그의 제자인 이숭인, 길재 등을 축출하여 반대파를 제거했습니다.

그러나 훗날 방원은 1398년 정도전을 숙청한 뒤에 정몽주를 충절(忠節)의 상징으로 현창시켜 익양부원군에 추증하고 영의정부사를 추서 하였습니다..

 

조선 개국

 

정몽주 등을 제거함으로써 이성계를 중심으로 한 신진 세력의 기반을 굳건하게 하여 새로운 왕조인 조선을 세우는 데 큰 공을 세웠습니다. 1392년 이성계가 태조로 등극함에 따라 이방원은 정안군(靖安君)에 봉해졌습니다. 원래 장자로 왕세자를 세워야 하는 것이 원칙이나, 조선 개국의 중요한 논리 중 하나였던 우창비왕설에 연관된 태조의 장남인 진안대군 방우를 제치고, 신하들은 나이와 공로를 감안해 신의왕후 소생 실질적 장남 영안군 이방과 또는 이방원을 세자로 세우라고 주청을 올렸습니다. 개국의 공로를 따지면 이방원이 태조의 아들 중 가장 많은 공을 세웠으나, 당시 "왕권(王權)보다 신권(臣權)으로 나라를 다스려야 국정이 안정된다"라는 신권을 주창하던 정도전은 이방원이 왕위에 오르면 신권을 주장하는 자기들을 제거할까 봐 두려워 결국 왕세자로 태조의 막내아들이자 계비 신덕왕후 강 씨 소생인 의안대군 방석을 선택하였습니다. 1394년 그는 전직 몽골 관료였으며 조선의 외교관이었던 조반 등을 따라 연경과 남경을 방문하여 주원장을 대면하였습니다. 그리고 후의 영락제와도 만났습니다.

 

왕자의 난

 

1차 왕자의 난

 

태조 이성계의 형인 이원계의 아들이자 이방원의 사촌 형으로 이방원을 지지하였습니다. 세자 자리를 두고 신덕왕후 강씨 소생의 의안대군 방석이 세자로 책봉되자 정비인 신의왕후 한 씨 소생의 왕자들은 이에 크게 불만을 나타냈으며 그것은 누구보다 조선 개국에 공이 컸던 이방원도 마찬가지였습니다. 태조는 개국 이후 군권분장정책을 통해 영안군 이방과, 정안군 이방원, 무안군 이방번, 세자의 매제 흥안군 등에게 절제사 직임을 수여해 군권을 분할했으며, 이것은 종친의 정치 참여를 금지하는 원칙에 위배되고 군권을 국왕의 통제 아래에 놓는 일원적 지배 체제에 위배되었습니다. 개국 초부터 태조의 지시 아래 정도전은 사병 혁파를 추진하고 있었습니다. 이에 반발한 이방원은 1398년에 부왕 태조가 와병 중임을 틈타 아내 민 씨의 후원과 이숙번·하륜·조영무 등 사병 혁파 반대 세력, 이화·사촌 이천우·처남 민무구·민무질 등 종친, 외척과 결탁해 제1차 왕자의 난을 일으켰고 정도전·남은·심효생 등의 개국공신들과 이복동생인 무안대군 방번·세자· 방석 등을 살해하고 정권을 장악하였습니다. 이 일이 있고 난 후 얼마 안 가 태조는 권력에 대한 회의를 느끼고 영안군 방과에게 보위를 물려주고 함흥으로 떠났습니다. 왕위를 물려받은 태조의 둘째 아들 방과가 바로 조선의 제2대 국왕 정종입니다. 이때 아버지 이성계의 서형인 이원계의 아들들이 그를 지지하고 정안군 이방원이 국정을 장악하게 됩니다.

728x90
반응형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종 (3)  (0) 2024.03.05
태종 (2)  (0) 2024.03.05
정조 (4)  (0) 2024.03.05
정조 (3)  (0) 2024.03.05
정조 (2)  (0) 2024.03.05